웹 접근성을 고려한 구성
웹 개발에 있어서 접근성이란, "사람들의 능력이 어느 정도 제한이 되어 있더라도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웹사이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" 라고 mdn에서 정의하고 있다. 보통 접근성이란 장애인을 돕기 위한 휠체어 접근과 같이 편의 시설을 성명하는 데에 많이 쓰이고 이러한 개념으로 웹 사이트로 확장될 수 있다. "그들의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언어, 문화, 위치 또는 신체적 혹은 정신적 능력이 무엇이든지 간에, 웹은 근본적으로 모든 사람들을 위해 일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웹이 이 목표를 달성할 때, 다양한 범위의 청각, 움직임, 시각, 인지 능력을 가진 사람들에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" W3C - Accessibility Accessibility - W3C The power of the Web ..
REST 기초
REST란? 웹의 아키텍쳐 스타일. 아키텍쳐 스타일이란? 복수의 아키텍쳐의 공통된 성질, 양식, 규정, 독특한 방식 등으로 시스템의 아키텍쳐를 결정할 때 나침반이 된다. 추상화 단위: 구현(apache, FireFox, IE 등 엔진) < 아키텍쳐(브라우저, 서버, 프록시, HTTP, URI, HTML) < 아키텍쳐 스타일(REST) 네트워크 시스템의 아키텍쳐 스타일은 클라이언트/서버(웹)이다. REST는 클라이언트/서버 구조에서 나온 아키텍쳐 스타일에서 몇 가지 제약을 더해 만들어졌다. 제약은 복수의 컴포넌트들을 조합해 협력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중요하다. REST에서 중요한것: 리소스 리소스란? 웹 상에 존재하는 이름이 매겨진 자원으로, 여기서 이름이 바로 URI이다. 구체적인 리소스에 접근하는 ..